티스토리 뷰
웨이브, 넷플릭스, 티빙, 유튜브 등은 스마트폰 사용자들에게 매우 친숙한 애플리케이션입니다. 다양한 콘텐츠를 언제 어디서나 즐길 수 있는 OTT 서비스는 이제 필수적인 요소로 자리잡았습니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매체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OTT 이용률은 77%에 달합니다. 특히 10대의 97.6%, 20대의 97.8%가 OTT 서비스를 이용한다고 답해 매우 높은 이용률을 보였습니다.
디지털 환경이 음성 통화 중심에서 데이터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취약계층 디지털 바우처> 지원 사업을 시범적으로 도입하기로 했습니다. 이 지원 사업의 대상과 혜택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디지털 바우처 시범사업
시범적으로 도입되는 ‘디지털 바우처’는 취약계층의 디지털 접근성을 보장하기 위해 마련된 프로그램입니다. 기존의 이동통신 요금 감면 혜택을 ‘디지털 바우처’로 전환하여, 바우처 금액 내에서 소비자가 선호하는 디지털 서비스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를 통해 취약계층은 통신 요금, 단말기 할부금, OTT 서비스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바우처 지원 대상 및 지원 혜택
디지털 바우처는 신청일 기준 이동통신 3사(SKT, KT, LG U+)에서 통신요금 감면 혜택을 받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 수급자)를 대상으로 합니다.
참여자는 85,800원의 바우처 지원금과 1인당 15GB의 무료 데이터 쿠폰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바우처 지원금은 이동통신요금 할인, 단말기 할부금 할인, 통신사 부가서비스 이용, OTT 서비스, 도서 및 웹툰 서비스, 음원 등 다양한 디지털 서비스에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바우처는 신청인 명의의 우체국 BC 체크카드로 지급됩니다.
디지털 바우처 지원 대상 및 혜택
지원 대상 | 통신요금 감면을 받고 있는 기초생활수급자(생계·의료급여 수급자) |
지원 혜택 | 85,800원 바우처 + 데이터 쿠폰 (1인당 총 15GB) |
바우처 사용처
이동통신서비스 | - 이동통신요금, 단말기 할부금 <br> - 통신사 부가서비스(컬러링, 데이터쉐어링 등) <br> - 통신사 제휴 상품(OTT, 도서, 음원 등 디지털 콘텐츠) |
디지털 서비스 | - OTT 서비스 (티빙, 웨이브, 왓챠, 시리즈온 등) <br> - 도서 & 웹툰 서비스 (밀리의서재, 카카오웹툰, 네이버웹툰, 윌라, 리디 등) <br> - 음원 서비스 (지니뮤직, 벅스뮤직, 바이브, 멜론뮤직, 플로 등) |
디지털 바우처 신청기간 및 신청 방법
디지털 바우처는 디지털 바우처 누리집에서 온라인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청 시 우체국 체크카드(BC카드)를 통해 디지털 바우처를 지급받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참여 조건 및 운영 방식 등 자세한 내용은 디지털 바우처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신청기간 | 2024.7. 22(월)~8.29(목) |
지원기간 | 2024.9.2(월)~11.30(토) 3개월간 |
신청방법 | 디지털바우처 홈페이지에서 신청 https://www.digital-v.kr/ |